alt text

공부기간

일주일(7일)을 잡고 공부 계획을 세웠음.
보통 하루에 1~2시간, 주말에는 길면 3시간 정도 했던 것 같습니다.

공부교재

아답터 교재

  • 유투버 아답터님의 “ADsP 완벽대비 요약노트”
  • 가격 : 8800원

    요약노트는 유료이지만 유튜브 강의는 무료입니다!

공부방법

Day 1~4

  • 1~2과목 아답터님 요약강의 듣기 (47분 23초)
  • 1~2과목 총 정리
  • 모르거나 헷갈린 내용 GPT를 통해서 내용 보충

Day 4~5

  • 3과목 아답터님 요약강의 듣기 (1시간 54분 53초)
  • 3과목 총 정리
  • 공식 정리

Day 5~7

  • 1~2과목 3회독
  • 3과목 2회독 + 공식 정리

여기서 말하는 총정리 = 대충 전체를 보면서 A4 용지에 쓰면서 요약 정리를 한다고 생각하면 됨

총 정리

배경

  • 통계 전공자로서 아는 내용도 많았지만, 이론을 놓은 지 오래라 까먹은 부분이 있었음.
  • 병행하는 일이 있어 공부 시간은 제한적이었고, 문제풀이보다는 이론 보강에 집중함.

비전공자에게 추천 전략

  • 3과목(계산)의 난이도가 높으므로, 1·2과목은 이론 위주로 빠르게, 3과목은 문제풀이로 계산 감각을 익히는 것을 권장.
  • 시간이 매우 부족하면 3과목에서 본인이 특히 약한 영역은 과감히 제외하고, 과락 방지 + 나머지를 확실하게 가져가는 전략 추천.

나의 3과목 전략

  • 암기 부담이 큰 영역은 과감히 생략. 예) 분류모델 평가지표(정밀도·재현율·특이도 등): 상호 연관이 많아 개인적으로 비효율이라 패스.
  • 반대로 암기에 자신 있으면 오분류표와 함께 공식·지표를 통째로 외우는 방식도 충분히 유효.

계산 파트 팁

  • 베이즈 정리: 논리적 사고를 요하는 계산 → 시간이 부족하면 버릴 후보.
  • 구간추정: 베이즈보다 부담이 적음 → 선택적으로 학습.

출제 트렌드

  • 최근에는 R 코드 작성 자체보다 검정 결과 해석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
  • 핵심 개념만 이해하거나 외워두면 난도는 높지 않으니, 과도한 정보에 위축되지 말고 핵심 위주로 학습.

느낀점

이론 부분이 너무 부족하다고 생각이 많이 들었던 시험이였다. 내가 빅데이터 분석기사, 정보처리기사 등등 데이터 관련 자격증을 계속 딸텐데 자격증을 위한 공부보다는 내 지식을 늘린다는 공부를 해야지 앞으로 취직해서, 개인 프로젝트를 할때 이론적인 베이스가 될 것 같다는 생각에 실습인 프로젝트도 중요하지만 이론적인 부분도 중요하다는걸 느끼는 계기가 되었다.

Leave a comment